MY MENU

우울증

따뜻하고 튼튼한 마음의 집을 짓는 곳 -
수지연세정신과의원
우울증치료

우울증의 종류

1. 일반적 치료 및 관리

우울증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형태의 우울증으로 가장 증상이 심한 경우입니다. 그 중에서도 심한 경우는 망상, 환각 등의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꼼짝도 하지 못 하고, 먹지도 않고 누워있기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기분부전증 (만성우울증)

증상의 정도는 주요우울증보다는 덜 하지만, 사회생활, 직업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심하여 환자들에게 고통을 초래합니다.

3. 조울증

기분이 들뜨고 활동이 많아지고 자신감에 가득 차 있는 조증상태와 기분이 가라앉고 자신감이 없어지는 우울증의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의 질환입니다. 다른 어떤 우울증보다도 유전적인 영향이나, 생물학적인 영향이 강합니다.

4. 겉으로는 우울증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

특히 청소년기에 학교 성적이 떨어진다거나, 불량스런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 실제 문제는 우울증인 경우가 있습니다.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짜증을 잘 내는 것이 특징이지만, 다른 질환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5. 특수한 형태의 우울증

월경 전 발생하는 우울증, 산후 발생하는 우울증, 갱년기 우울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절에 따라서 우울증이 발생하는 계절성 우울 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6. 신체질환이 우울증처럼 보이는 경우

우울증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거나 암이 있는 것으로 판명이 될 때가 있습니다. 때로는 약물에 의해서도 우울증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질병이나 약물에 의하여 우울증이 발생하는 것은 아닌지 조사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우울증의 치료

1. 일반적 치료 및 관리

경한 우울증 환자는 외래에서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받으면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한 우울증 환자는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 우울증 증상이 심한 경우나 자살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입원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2. 약물치료

약물치료 시 항우울제, 기분안정제, 항불안제, 항정신병 약물 등을 사용합니다.

3. 정신치료

우울증으로 인한 이차적 장애 방지, 심리적 스트레스의 해결, 의사소통능력 향상, 긴장감소, 대인관계 향상, 사회적응을 위해 정신치료가 필요합니다. 전통적인 정신치료를 시행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다소 변형된 정신치료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정신치료는 치료자가 적극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취하는 것입니다.